항목 ID | GC08500293 |
---|---|
한자 | 龜溪港 |
영어공식명칭 | Gugye Harbor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1년 12월 21일 - 구계항 국가어항으로 지정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1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5년 - 구계항 전체 시설 완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9년 - 구계항 어구 보관 창고 신축 |
최초 설립지 | 구계항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 |
현 소재지 | 구계항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
![]() |
성격 | 항구 |
면적 | 20,242㎡ |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에 있는 어항.
구계항(龜溪港)은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에 있으며, 1971년 12월 2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1963년부터 구계항 방파제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1971년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이후 어선의 안전 정박과 어획물의 원활한 양륙, 어민의 소득증대와 지역사회 발전 기반 조성을 목적으로 국가어항으로 승격되었다.
구계항은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이후 수차례 축항 공사가 진행되어 1991년 기본 시설, 2005년 전체 시설이 완공되었으며, 2019년 어구 보관 창고가 신축되었다.
구계항은 북방파제 350m, 남방파제 98m, 선양장 30m, 물양장(物揚場)[소형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 375m, 파제제(波除堤)[항만의 안쪽에 설치하는 소규모 방파제] 70m, 수제선 정비 1식[147m], 준설 4.7m 등 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상 어항 구역의 면적은 20,242㎡이다. 방파제 등 시설 보완 사업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항구 시설의 종류와 규모는 매년 차이가 있다.
남정면 구계리의 구계항은 동해로 유입되는 구계천 하구를 중심으로 항구가 조성되었다. 구계라는 명칭은 마을 뒷산이 거북 형상 또는 마을 앞바다에 거북이 많이 서식하였다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어촌·어항법」에 근거한 어항으로서 1971년 12월 21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구계항은 중소형 선박이 자유롭게 입출항할 수 있는 어항으로, 어업 전진기지 및 태풍이 불 때 피항지 역할을 한다. 2019년에는 각종 어구 등을 수리하고 정리·보관할 수 있는 건축 면적 375㎡의 어구 보관 창고 1동이 신축되었다.
구계항 주변은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 경사지에 입지한 마을에서 바라보는 바다 조망이 뛰어나다. 구계항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을 즐길 수 있어 펜션, 민박 등 숙박 시설과 대게 전문점과 횟집 등이 즐비하다. 구계항을 중심으로 한 구계리 해안은 영덕블루로드 D 코스 ‘쪽빛파도의 길’에 해당한다. 구계항 옆으로 동해안을 종단하는 국도 제7호선이 통과하여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쪽으로는 영덕군 강구면과 영덕읍으로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