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444 |
---|---|
한자 | 盈德虞卿古宅 |
영어공식명칭 | Ugyeong House, Yeongdeok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길 28-8[원구리 173-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찬영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무안박씨 가문의 살림집.
박중상(朴重相)[1692~1752]이 건립한 살림집이다. 박중상의 본관은 무안(務安), 호는 우경(虞卿)이다.
영덕 우경고택(盈德虞卿古宅)은 원구리 마을 중심부에 자리한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경수당종택(慶壽堂宗宅)과 마주보고 있다.
18세기 초반 박중상이 건립하였고, 이후 수차에 걸쳐 보수되었으나 관련 기록은 없다.
남쪽으로 난 골목길을 통해 동쪽으로 들어서면 정침이 동향하고 있다. 정침은 정면 5칸, 측면 5칸이고, 'ㄱ' 자형 안채와 '⊥' 자형 사랑채가 결합된 완결형에 사랑마루 1칸이 남쪽으로 돌출된 횡간확장형(橫間擴張形) 뜰집이다. 안채는 2칸 안마당에 면해 겹집의 안대청을 설치하고 그 좌측에 도장, 우측에 상방과 마룻바닥의 통래칸을 배열하였다. 좌익사는 안방과 정지로 구성했고, 우익사는 고방과 사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마당 중간에 낸 중문간 우측은 사랑채로 사랑방 칸반에 사랑마루 1칸을 돌출시켰고, 사랑방 뒤로는 중방을 두었다. 중문간 좌측으로는 마구가 정지로 이어진다. 정지 상부에는 다락이 있고, 중문간 쪽 사랑방 뒤에는 다락과 외부에서 이용하는 다락이 설치되어 있다. 정지는 안마당 쪽으로 문 없이 개방된 구조이다.
구조는 자연석 기단에 안대청 중앙 전·후면에만 두리기둥이고 그 외는 네모기둥을 세운 뒤 주상부는 민도리 형식으로 꾸몄다. 지붕가구는 안대청이 3고주 5량가이고, 그 외는 평주 3량가이다. 통래칸·고방·정지·마구·안대청·사랑마루의 벽체는 판벽에 널문을 달았고, 방은 한식토벽에 살창·살문으로 구분해 달았다. 지붕은 사랑채만 홑처마 맞배로 독립시켜 권위를 상징화했고, 그 외는 복합형이다.
2018년 7월 16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였다.
정침은 사랑채 사랑마루가 돌출 확장된 완결형 중에 횡간확장형 뜰집, 중부형의 안채 평면구성 등은 경상북도 북부 지역 상류주택의 특성을 갖고 있다. 다만 상방 앞에 통래칸을 둔 점, 안방 뒤에 수장공간인 도장을 둔 점 등은 이 지역 상류주택에서 많이 확인되는 건축적 특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