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460
한자 樓亭
영어공식명칭 Pavilion
이칭/별칭 정루,누각,정자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지국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에 세워진, 사방을 넓게 볼 수 있는 다락 구조의 건축물.

[개설]

누정(樓亭)은 누각과 정자를 합친 명칭으로,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일부 문헌에서 누(樓)·정(亭)을 비롯하여 당(堂)·대(臺)·각(閣)·헌(軒) 등을 포함하여 서술하고 있다.

[누정의 역사]

누정의 기원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이른 시기부터 누정과 비슷한 형태의 휴식공간이 건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는 『삼국유사』 등의 자료를 통해 삼국시대부터 누정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 사림을 중심으로 누정의 건립이 확산되었다. 영덕 지역 역시 문헌상 고려 후기부터 누정이 확인되나 본격적으로 누정이 건립되는 것은 조선 후기이다.

[문헌을 통해 본 영덕의 누정]

영덕 지역에 건립된 누정은 『세종실록지리지』를 비롯하여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輿地圖書)』, 『단양부지(丹陽府誌)』, 『영영승람(盈寧勝覽)』 등의 읍지류를 통해 통해 파악해 볼 수 있다.

조선시대 영덕 지역은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영덕현(盈德縣)이 설치되어 있었다. 영해도호부의 경우 『세종실록지리지』에 관어대(觀魚臺)를 비롯하여 봉송정(奉松亭)·소송정(小松亭) 등이 확인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관어대는 영해도호부의 동쪽 7리에 있다. 바다를 굽어보고 있다. 봉송정(奉松亭)·소송정(小松亭)은 모두 그 아래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후 편찬된 지리지에 확인되는 누정은 다음과 같다.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 영해도호부의 유명누대(有名樓臺) 항목에 관어대·해안루(海晏樓), 『신증동국여지승람』 영해도호부의 누정 항목에 해안루·서루(西樓)·남루(南樓)·동루(東樓)·봉송정·소송정·관어대·임영루(臨瀛樓), 『여지도서』 영해부의 누정 항목에 해안루·서루·남루·동루·봉송정·소송정·관어대·임영루·이송정(李松亭) 등이 있다. 1813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단양부지』의 승지(勝地) 항목에 봉송정·이송정·남승정(攬勝亭)·소송정·시면정(矢面亭)·풍영정(風詠亭)·온천정(溫泉亭)·팔풍정(八風亭)·유사정(流沙亭)·무가정(無價亭)·관어대·치헌정(癡軒亭)·연정(蓮亭)·도와정(陶窩亭)·족한당(足閒堂)·연당(蓮堂)·강정(江亭)·청간정(聽澗亭)·관가정(觀稼亭)·난고정(蘭皐亭) 등으로 누정이 수록되어 있다.

영덕현의 경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청심루(淸心樓)가 확인된다. 『여지도서』역시 청심루 1개만 수록되어 있다. 문헌상 영덕의 누정은 영덕현 지역보다 영해도호부 지역에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시기적으로 보면 조선 전기보다는 조선 후기 누정 건립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영덕 지역 누정 건립은 지속되어 1935년 간행된 『영영승람』을 보면 유사정을 비롯하여 60여 개의 누정이 확인된다.

[영덕지역 누정 현황]

현재 영덕 지역에 있는 누정을 지역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영덕읍의 공북정(拱北亭)·삼어정(三於亭), 강구면의 삼익당(三益堂)·체화정(棣華亭)·침선정(枕仙亭)·장춘당(長春堂)·처호정(處湖亭), 남정면의 침석헌(枕石軒)·구성정(求性亭)·구포당(九苞堂)·구포정(九苞亭)·정강정(靜岡亭)·정수당(正修堂)·벽류정(碧柳亭), 달산면의 서간정(西澗亭)·육구당(六懼堂)·자구당(自求堂)·경모정(景慕亭)·용은정(龍隱亭)·운수정(雲峀亭)·침수헌(沈漱軒)·매오정(梅梧亭)·제오정(霽梧亭)·모암정(慕巖亭)·침수정(枕漱亭), 지품면의 망경대(望京臺)·세심정(洗心亭)·죽은당(竹隱堂)·체화헌(棣華軒)·감화당(甘華堂)·삼오당(三吾堂)·반송정(盤松亭)·낙교정(樂郊亭)·운계정(雲溪亭)·청금정(聽琴亭)·대봉정사(大峰精舍)·봉후정(峯後亭)·간송헌(澗松軒)·영모정(永慕亭)·연빙헌(淵氷軒), 축산면경렴정(景濂亭)·이매당(二梅堂)·육영루(毓英樓), 영해면괴정(槐亭)·만서헌(晩棲軒)·입천정(卄川亭)·침수정·만송당(晩松堂)·경수당(慶壽堂)·고은정(皐隱亭)·구성헌(九成軒)·금서헌(琴書軒)·난고정(蘭皐亭)·만취헌(晩翠軒)·상의당(尙義堂)·곡강정(曲江亭)·간송당(澗松堂), 병곡면의 노은정(魯隱亭)·용암정(龍岩亭)·송천정사(松川精舍)·어사정(於斯亭), 창수면의 만괴정(晩槐亭)·벽산정(碧山亭)·서산정(西山亭)·소택정(小澤亭)·오봉헌(五峰軒)·우계정(愚溪亭)·자운정(紫雲亭)·처인당(處仁堂)·청계정(淸溪亭)·충효당(忠孝堂)·구산정(龜山亭)·봉주정사(鳳洲精舍)·불매정(不寐亭)·우현정(愚峴亭)·청류정(聽流亭)·도천정사(道川精舍)·청간정(聽澗亭)·영은정(瀛隱亭)·임파정(臨波亭)·면운정(眠雲亭)·우헌정(于軒亭)·서양정(西陽亭)·덕후루(德厚樓) 등이다.

한편, 영덕의 누정 중 문화재로 지정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는 1987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덕후루가 있다.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는 1989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모고재(慕古齋), 1993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지족당, 1994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우헌정, 2000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영해입천정(寧海卄川亭), 괴시리괴정(槐市里槐亭), 2002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육영루 등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