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469 |
---|---|
한자 | 小澤亭 |
영어공식명칭 | Sotaekjeong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5길 45-38[인량리 436-3]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백지국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정자.
소택정(小澤亭)은 박신지(朴身之)[1629~1705]가 말년을 보낸 곳이다. 박신지의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이경(履卿), 호는 소호(小湖) 또는 택옹(澤翁)이다. 1675년(숙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감찰, 춘추관기관주, 예조정랑, 성균관사예, 통례원상례, 사시정, 보령현감, 서산군수, 울산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문집으로 『소호집(小湖集)』이 전한다.
소택정은 인량리 인량마을 북쪽에 자리한다. 마을 북쪽과 동쪽은 인량대산(仁良大山)과 동산(東山)이 병풍처럼 마을을 감싸고, 남쪽으로는 송천(松川)이 흐른다. 소택정 주변으로 영덕 충효당 종택, 영해 인량리 주씨종택(寧海仁良里朱氏宗宅), 영덕만괴헌(盈德晩槐軒) 등이 있다.
소택정은 박신지가 관직을 그만두고 말년을 보낸 곳이다. 1918년 중건하였다.
소택정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소로수장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왼쪽 1칸은 통칸 대청을 깔고, 오른쪽 2칸은 온돌방을 연접시켰다. 온돌방은 마루 전면에 4짝 문을 달아 마루방을 이루게 하였고, 반 칸 규모의 툇간을 두었다. 툇간 주위에는 헌함(軒檻)을 달아 계자난간을 둘렀다. 가구는 5량가 구조이다.
현재 소택정 뒤로 안채, 왼쪽으로 창고가 자리한다. 담을 둘러 일곽을 이룬다. 관리는 양호한 편이다.
소택정은 17세기말~18세기 초 박신지의 소요처에서 유래하여 일제강점기 중건되었다. 조선 후기부터 근대까지 인량리에 세거하는 함양박씨 가문의 문화유산으로, 당시 사족들의 향촌 사회활동의 일면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