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658 |
---|---|
한자 | 朴之蒙 |
영어공식명칭 | Park Jim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채광수 |
출생 시기/일시 | 1445년![]() |
---|---|
거주|이주지 | 원고리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 |
외가|처가 | 원고리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 |
묘소|단소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보림리 산20-2
![]() |
성격 | 무신 |
성별 | 남 |
본관 | 무안 |
조선 전기 무안박씨 영덕 입향조.
박지몽(朴之蒙)[1445~?]은 무안박씨(務安朴氏) 영덕 입향조이다.
박지몽의 본관은 무안(務安)이다. 1445년 조선 개국공신으로 형조판서를 지낸 박의룡(朴義龍)의 현손이며, 아버지 박해(朴解)와 어머니 풍천임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외가에서 성장하였다. 부인은 영해의 야성박씨(野城朴氏) 박종문(朴宗文)의 딸이며, 5명의 아들을 두었다.
박지몽은 서울에 살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가 발생하자 경기도 여주로 피신하였다. 얼마 뒤에는 큰아버지 박이(朴頤)를 따라 영해로 내려갔다가 함길도도사(咸吉道都事)를 지낸 박종문의 딸과 혼인하며 경상도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원고리(元皐里)[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정착하였다. 3남인 박영기(朴榮基) 계열에서 무과 급제자가 집중적으로 배출되면서 무반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박지몽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보림리 산20-2에 있다.
사복시정(司僕寺正)에 증직되었으며, 『단양부지(丹陽府誌)』에 의하면 부의 서쪽 50리[약 20㎞] 무덤 근방에 묘재(墓齋)인 오현재사(烏峴齋舍)가 있다는 기록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