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686 |
---|---|
한자 | 申沃 |
영어공식명칭 | Shin Ok |
이칭/별칭 | 세현(世現),삼의(三宜)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광우 |
활동 시기/일시 | 1572년 - 신옥 진사시 입격 |
---|---|
수학|강학지 | 예안향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 |
묘소|단소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 사기곡![]()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평산 |
대표 관직|경력 | 예안훈도(禮安訓導) |
조선 전기 영덕 출신의 문신.
신옥(申沃)[?~?]은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1467~1555]·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문인(門人)으로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신옥의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세현(世現)·계숙(啓叔), 호는 삼의재(三宜齋)이다.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신도지(申道之)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참봉(參奉)을 지낸 신경종(申敬宗), 어머니는 야성방씨(野城房氏), 할아버지는 신맹(申孟), 증조할아버지는 호조참판을 지낸 신봉(申奉)이며, 부인은 야성김씨(野城金氏)이다.
신옥은 일찍이 문장과 학식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예안훈도(禮安訓導)로 천거되었다. 이현보와 이황의 문하(門下)에서 학문을 배웠다. 영덕에서 청심루(淸心樓)를 중건하자, 이현보를 찾아가 기문(記文)을 청하였다. 1572년(선조 5)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 사기곡(沙器谷)에 묘소가 있다.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증직(贈職)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