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755 |
---|---|
한자 | 白民秀 |
영어공식명칭 | Baek Minsu |
이칭/별칭 | 응기(應期)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소희 |
출생 시기/일시 | 1558년![]() |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백민수, 임진왜란 당시 의병으로 활동 |
몰년 시기/일시 | 1621년![]() |
출생지 | 영해도호부 - 경상북도 영덕군 |
묘소 | 동로동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내자시직장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의병.
백민수(白民秀)[1558~1621]는 경상도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백민수의 자는 응기(應期)이며 본관은 대흥(大興)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을 지낸 백계근(白繼根), 할아버지는 참봉 백당(白瑭), 아버지는 교수(敎授)를 지낸 족한당(足閒堂) 백인국(白仁國), 어머니는 참봉 남순성(南順成)의 딸 의령남씨(宜寧南氏)이며, 부인은 내금위장(內禁衛將)을 지낸 황응하(黃應河)의 딸이다.
백민수는 종사랑(從事郎) 군자감참봉(軍資監參奉)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아버지 백인국의 지시로 30곡(斛)의 쌀을 곽재우(郭再祐) 진영이 있던 경상남도 창녕 화왕산성(火旺山城)의 진까지 수송하였다. 또한 문위세(文緯世)를 도와 의병을 일으켜 장수(長水)·금산(錦山)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백민수의 묘는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대곡리 동로동(東魯洞)에 있다.
백민수는 1605년(선조 38)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으며, 내자시직장(內資寺 直長)을 제수받은 뒤,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