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902 |
---|---|
한자 | 洪學用 |
영어공식명칭 | Hong Hakyong |
이칭/별칭 | 남홍학용(南洪學用) |
분야 | 역사/근현대,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신진희 |
출생 시기/일시 | 1883년 11월 15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19일 - 홍학용 창수면 3.1독립운동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944년 10월 28일![]() |
추모 시기/일시 | 2007년![]() |
관련 사건 시기/일시 | 1919년 3월 19일 - 창수면 3.1독립운동 |
출생지 | 경상북도 영양군 동면 율목동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리 167
![]() |
활동지 | 창수주재소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3길 20-3
![]()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학용(洪學用)[1883~1944]의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창수동이며, 출생지는 경상북도 영양군 동면 율목동이다. 창씨개명한 이름은 남홍학용(南洪學用)이다.
1919년 3월 19일 오후 4시 무렵 창수주재소 부근에서 이수각(李壽珏)·이현설(李鉉卨)·이종구(李鍾龜) 등이 주도하고 약 200명의 군중이 참여한 가운데 창수면 3.1독립운동이 일어났다. 홍학용도 창수면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이후 군중은 창수면주재소를 공격하였는데, 이때 홍학용은 같은 마을인 창수동 출신 박성운 등과 함께 주재소의 기물과 책 등을 파손하였다. 이후 일제 경찰에 체포된 홍학용은 4월 10일 대구지검 경주지청에서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으로 송치되었으며, 6월 5일 대구지방법원과 9월 30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요, 주거침입, 건조물 손괴, 문서 훼기,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2007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